본문 바로가기

생활 정보140

근로장려금 우대적금.! 은행별 금리비교 근로장려금 추가혜택 근로장려금 다들 신청하셨나요? 근로장려금 신청하신분들 은행에서 적금 금리 우대로 받을 수 있는것 알고 계셨나요? 은행별 금리 비교해보시고 우대금리 받자구요! ↓↓아직 근로 장려금 신청안하신 분들 아래 링크 가셔서 신청부터 해주세요.↓↓ KB국민행복적금 기간 1년 금액 30만원 이내 금리 최고 연 5.75%(12개월) - 상품유형 : 정액적립식 , 자유적립식 - 저축금액 - 정액적립식 : 월 1만원 ~30만원 (원단위) - 자유적립식 : 월 1천원~30만원 (원단위) 신한 새희망적금 기간 36개월 금액 1천원~20만원 한도내 자유적립 금리 기본 4.0% 우대이율 1.5% 최대 5.5% 우리은행 우리희망드림적금 기간 1년 금액 20만원 이내 금리 연2% + 만기해지시 연 2% 우대이율 NH희망채움적금 기간 .. 2023. 5. 17.
에너지캐시백 신청 바로가기.! 전기사용 줄이면 한전에서 현금을 준다!! 여름이 다가오니 전기세 걱정 많으시죠? 한국전력에서 하반기부터 전기 사용을 줄인 가구에 현금을 돌려주는 주택용 에너지캐시백을 확대 운영합니다. 에너지 캐시백 미리 신청하고 올여름 전기세 아껴보자고요. 상세히 알려드릴게요. 에너지캐시백 신청방법 한국전력 EM:TER에서 가입 에너지캐시백 신청대상 - 아파트 단지 : 고압아파트 및 오피스텔의 입주자대표회의 또는 관리사부소 - 개별가정 : 가족구성원 중 1인 또는 전기사용계약자 본인 에너지캐시백 신청기간 - 참여 희망 가구는 6월 2주 차부터 신청할 수 있다. - 7월부터는 인근 한전 지사 방문 신청도 가능 너지 캐시백 지급기준 - 개별가정 : 절감량(kwh) x30원 - 아파트 단지 : 절감량 기준 구간별 정액 지급 절감량(MWH) ~10이하 ~30이하 ~5.. 2023. 5. 17.
근로장려금 제외 대상.! 근로장려금 신청 제외,감액 대상 근로 , 자녀려금 요건을 충족한다고 생각 했는데 신청하고보니 제외 될 때가 있어요. 꼭 확인해보세요.!! 근로장려금 신청제외 사례 - 대한민국 국적 미보유자 - 다른 거주자의 부양자녀인 자 - 거주자가 전문직 사엽 영위 근로장려금 산정금액에서 감액 사례 - 가구원 재산합계액이 1.7억원 이상 2.4억원 미만 : 해당 장려금의 50% 차감 - 기한 후 신청 : 해당 장려금의 10%차감 - 소득세 자녀세액공제와 자녀장려금을 중복 신청한 경우 : 지급액에서 자녀세액 공제 해당세액 차감 - 국세 체납액이 있는 경우 : 지급액의 30%를 한도로 체납액에 충당 - 지급액이 환수되는 경우 : 가산세부과 (1일 22/100,000) 근로장려금 우대적금 근로장려금 수급자는 은행에서 우대금리로 적금 가입 가능한 상품이 있.. 2023. 5. 16.
근로장려금 이제 자동신청 하세요.!!자동신청 모든것 만 65세 이상 고령자 또는 22.12.31 기준 중증 장애인이라면 장려금 자동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대상자 확인 후 신청에 동의해 주세요.!! 근로장려금 자동신청 대상 만 65세 이상 고령자 - 올해는 1957.12.31 이전 출생자 - 23년 9월 상반기분 신청의 경우에는 1958.12.31 이전 출생자 중증 장애인 - 올해는 2022.12.31 기준 - 다만 23년 3월 하반기분 신청의 경우에는 2021.12.31 기준 중증장애인 * 위 대상자에 해당하는 경우 근로, 자녀장려금 신청기간 내 자동신청 1회 동의하면 됩니다. 근로장려금 자동신청 기간 - 자동신청 동의는 장려금 신청기간에만 할 수 있습니다. - 3.1~15.(하반기분 신청) - 5.. 1~31.(정기분 신청) - 9.1~15.(상반기분.. 2023. 5. 12.
과태료 100만원! 이제 계도기간이 끝! 전월세 신고 바로가기 2년이나 유예되었던 전월세 신고제.! 이제는 계도기간이 끝나고 진짜로 과태료 부과를 시작합니다. 신고날짜 와 기준 계약 날짜 헷갈리시는 분들 있으시죠? 전월세 신고제 한눈에 알려 드릴게요. 전월세 신고제 신청날짜 - 5월 31일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전월세 신고제 과태료 - 최고 100만 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전월세 신고제 계약날짜 이 부분 헷갈리시는 분들 많은데 꼭 체크하셔야 합니다.!! 2021년 6월 이후 계약건은 모두 신고대상입니다. 계도기간이었지만 신고를 하지 않으면 소급적용해서 과태료를 부과하게 됩니다. 신고 대상 : 임대인 + 임차인이 계약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공동 신고해야 함 임대인 또는 임차인 중 한 명이 당사자가 모두 서명한 계약서를 제출해도 됨. 신고 지역 : 수도권(서울,.. 2023.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