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원금 시리즈91

에너지효율개선사업! 에어컨 보일러 지원사업! 산업부는 저소득층 가구 및 사회복지시설을 대상으로 난방, 냉난방 설비나 기기 지원을 해오고 있습니다. 지난해 869억원에서 올해 996억으로 확대 되었다고 합니다. 지원대상 - 국민기초생활수급가구 및 차상위계층 - 기초 지자체장의 추천을 받은 에너지복지 사각지대의 일반 저소득가구 - 주택 소유주 동의서, 수급자 증명서, 차상위계층 확인서 등 첨부필요 - 에어컨 없는 가구 대상 신청일정 - 난방 : 4월 19일~ 9월30일 - 냉방 : 3월2일~4월14일 (마감되었으나 이때 신청한 가구 중에서 1,500가구 추가 선정) 지원규모 - 31,000가구 - 가구 : 가구당 평균 약 243만원 - 시설 : 시설당 1,100만원 이내 지원내용 - 단열공사 : 벽면 단열재 부착→구조틀 시공→석고보드→도배 마무리 - .. 2023. 5. 19.
2023 보조금 확대 분야별 총정리! 잊지말고 챙기세요.! 2023년 여러 보조금정책이 시행되고 있지만 찾기 일일이 찾기 어려우셨죠? 확대된 2023 보조금 정책 한눈에 볼 수 있게 정리해 드릴게요. 보조금 잊지말고 챙기자구요.! 보건, 의료, 복지 분야 보조금 1. 재난적 의료비 지원확대 -상반기부터 저소득층의 의료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재난적 의료비 지원 - 대상질환 확대 : 입원 혹은 외래 6대 중증질환(암,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희귀 질환, 중증 화상, 중증 외상)에서 미용, 성형 등을 제외한 모든 질환으로 확대. - 금액 : 연 5000만 원으로 상향됨 2. 부모급여 도입 - 만 0세 아동 : 월 70만 원 - 만 1세 아동 : 월 35만 - 0세 아동이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시설 이용보육료 50만 원을 차감한 금액 -1세 아동은 어린이집 이용 시.. 2023. 5. 16.
새출발기금 지원 대상확대.! 소상공인/자영업자 새출발기금의 모든것. 코로나로 인해 피해를 받은 자영업자/ 소상공인들을 위한 새출발 기금이 5월부터 지원 대상이 확대 됩니다.!! 자세히 알아보고 신청하러 가자구요.! 새출발기금 대상 1. 코로나 피해를 입은 - 손실보전금 등 재난지원금 또는 손실보상금 수령차주 - 전(全)금융권 만기연장. 상환유예조치 이용차주 - 기타 코로나 19 피해 사실을 객관적으로 증빙할 수 있는 차주 - 다만. 위 내용에 해당하더라도, 중기부 손실보전금 지원대상 업종이 아닌 경우 지원대상에서 제외 2.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 소상공인 - 개인 사업자 - 법인소상공인 : 법인은 소상공인확인서 발급 후 신청가능 - 폐업자(개인사업자만) : 코로나 발생이후(2020년 4월~) 폐업자(개인사업자만)로 제한 3. 부실차주 또는 부실우려차주 - 부실차주 : 1개.. 2023. 5. 11.
부모급여(부모수당) 신청, 지급일,유의할점 알아보기 부모급여 신청하세요.! 올해 1월부터 돌봄이 집중적으로 필요한 영아를 가정에서 맘 편히 돌볼 수 있도록 부모급여를 지원하게 됩니다. 양육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알려 드릴게요. 부모급여 지급금액 만 0세 : 월 70만원 만 1세 : 월 35만 원 * 2024년부터는 지원금액이 확대되어 만 0세는 월 100만 원, 만 1세는 월 50만 원을 받게 된다. *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에는 보육료 바우처로 지급한다. * 만 0세는 부모급여 70만 원이 보육료 바우처 지원금액보다 커서 차액 18만 6,000원을 현금으로 받는다. 신청방법 방문신청 : 아동의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 면. 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여 신청 부모가 방문 신청할 때는 주소지 무관 전국 주민센터에서 .. 2023. 4. 27.
병원 동행 서비스 신청하러가기, 비용 알려드림 시민이 아파서 병원동행이 필요할 때, 병원에 갈 때부터 귀가할 때까지 모든 과정에 동행 매니저가 보호자처럼 동행해주는 병원동행 서비스 신청 하러 가볼까요. 서울시 병원동행서비스 신청조건 병원서비스를 받는데 어려움이 있는 시민 누구나 신청가능 주소지가 서울이 아니더라도 서울에 실거주하는 시민이라면 누구나 가능 병원으로 출발부터 집으로 올때까지 동행 병원내에서 진료실,수납 동행 이용가능 시간 평일 : 07:00~20:00 주말 : 09:00~18:00 (주말은 사전예약만 지원) 사전예약과 당일신청 모두가능 사전예약은 일주일 전부터 신청 가능 신청방법 콜센터 : 1533-1179 온라인 : 1in.seoul.go.kr 비용 시간당 5,000원(30분 초과시 2,500원 추가) 중위소득 100% 이하 저소득층 .. 2023. 4. 26.